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178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4-6] 쓸모 있음의 재앙과 쓸모 없음의 길함 宋有荊氏者, 宜楸·柏·桑. 其拱把而上者, 求狙猴之杙者斬之; 三圍四圍, 求高名之麗者斬之; 七圍八圍, 貴人富商之家求樿傍者斬之. 故未終其天年, 而中道已夭於斧斤, 此材之患也. 故解之以牛之白顙者, 與豚之亢鼻者, 與人有痔病者, 不可以適河. 此皆巫祝以知之矣, 所以爲不祥也, 此乃神人之所以爲大祥也. 송나라에(宋) 형씨란 사람이 있었는데(有荊氏者), 개오동나무와 측백나무, 뽕나무가(楸·柏·桑) 알맞게 잘 자랐다(宜). 그것이(其) 한 줌 두께 이상인 것은(拱把而上者), 원숭이 말뚝을(狙猴之杙) 구하는 사람이(求者) 베어 가고(斬之); 서너 아름이 되면(三圍四圍), 높고 큰 도리를 구하는 사람이(求高名之麗者) 베어 가고(斬之); 칠팔 아름이 되면(七圍八圍), 귀인가 부유한 상인 집안에서(貴人富商之家) 관에 쓸 나무를 구하는.. 2024. 10. 14.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4-5] 쓸모 없음의 쓸모 있음 南伯子綦遊乎商之丘, 見大木焉有異, 結駟千乘, 隱將芘其所藾.  남백자기가(南伯子綦) 상구에서(乎商之丘) 노닐다가(遊), 거기에서 큰 나무를 보았는데(見大木焉) 다른 점이 있고(有異), 수레 4천 승을 묶어 둔 것도(結駟千乘), 그 그늘에(其所藾) 가릴 수 있었다(隱將芘).   * 商之丘: 商丘는 지명. 商之丘의 之는 人名이나 地名 사이에 붙는 어조사다.* 隱將芘其所藾: 그 그늘에 덮어서 가릴 수 있음. 隱將을 將隱으로 보고 隱芘를 연용하여 가린다는 뜻으로 풀이하는 주석(郭象‧林希逸 등)이 많다.  子綦曰: "此何木也哉? 此必有異材夫!" 仰而視其細枝, 則拳曲而不可以爲棟梁; 俯而見其大根, 則軸解而不可爲棺槨; 咶其葉, 則口爛而爲傷; 嗅之, 則使人狂酲三日而不已. 子綦曰: "此果不材之木也, 以至於此其大也. 嗟乎!.. 2024. 10. 14.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41] 대기만성(大器晚成) / 큰 그릇은 틎게 이루어진다 上士聞道, 勤而行之;(상사문도 근이행지)뛰어난 선비가(上士) 도를 들으면(聞道), 부지런히(勤而) 그것을 행하고(行之);  有志也. 뜻이 있는 것이다(有志也).  中士聞道, 若存若亡;(중사문도 약존약망) 下士聞道, 大笑之.(하사문도 대소지) 不笑, 不足以為道.(불소 부족이위도) 故建言有之:(고건언유지)보통 선비가(中士) 도를 들으면(聞道), 보존하기도 하고(若存) 잃기도 하고(若亡); 못난 선비가(下士) 도를 들으면(聞道), 크게 웃는다(大笑之). 웃지 않으면(不笑), 도가 되기에 부족하다(不足以為道). 그러므로(故) 세워진 말(전하는 말)에(建言) 이런 것이 있으니(有之):  建, 猶立也. 건은(建), 세움과 같다(猶立也).  明道若昧,(명도약매)밝은 도는(明道) 어두운 듯하고(若昧),  光而不耀. .. 2024. 10. 14.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4-4] 무용지용(無用之用) / 나는 쓸모없음을 구한 지가 오래되었다 匠石之齊, 至於曲轅, 見櫟社樹. 其大蔽牛, 絜之百圍, 其高臨山十仞而後有枝, 其可以舟者旁十數. 觀者如市, 匠伯不顧, 遂行不輟.  석장이(匠石) 제나라에 가면서(之齊), 곡원에 이르러(至於曲轅), 사에 심어진(社樹) 상수리나무를 보았다(見櫟). 그 크기가(其大) 소를 가릴 정도였고(蔽牛), 그것을 헤아려보면(絜之) 백 아름이고(百圍), 그 높이가(其高) 산을 내려다볼 정도이고(臨山) 열 길이 지나서야(十仞而後) 가지가 있으니(有枝), 그것이 배를 만들 수 있는 것이(其可以舟者) 거의(旁) 수십 척에 달했다(十數). 보는 사람이(觀者) 마치 시장처럼 많았는데(如市), 장백은(匠伯) 돌아보지도 않고(不顧), 마침내(遂) 길을 가서(行) 멈추지 않았다(不輟).   * 櫟社樹: 櫟은 상수리나무로 여기서는 神木으로 .. 2024. 10. 12.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4-3] 당랑거철(螳蜋車轍) / 그대는 이 당랑을 알지 못하는가? 顔闔將傅衛靈公大子, 而問於蘧伯玉曰: "有人於此, 其德天殺. 與之爲無方, 則危吾國; 與之爲有方, 則危吾身. 其知適足以知人之過, 而不知其所以過. 若然者, 吾奈之何?" 안합이(顔闔) 위령공 태자의(衛靈公大子) 사부가 되려고 하면서(將傅, 而) 거백옥에게 묻기를(問於蘧伯玉曰): "여기 어떤 사람이 있는데(有人於此), 그 덕이(其德) 태어나면서부터 잔인합니다(天殺). 그와 함께(與之) 무도한 짓을 저지른다면(爲無方, 則) 우리나라를 위태롭게 할 것이고(危吾國); 그와 함께(與之) 도가 있는 것을 하려고 하면(爲有方, 則) 내 몸을 위태롭게 할 것입니다(危吾身). 그 지혜는(其知) 다만(適) 남의 잘못을 아는데 충분하고(足以知人之過, 而) 자기가 잘못한 것을(其所以過) 알지 못합니다(不知). 만약(若) 이러한 경우.. 2024. 10. 10.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4-2] 섭공 자고가 공자에게 처세술을 물었다 葉公子高將使於齊, 問於仲尼曰: "王使諸梁也甚重, 齊之待使者, 蓋將甚敬而不急. 匹夫猶未可動, 而況諸侯乎! 吾甚慄之.  섭공(葉公) 자고가(子高)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려고 하면서(將使於齊), 중니에게 물어 말하길(問於仲尼曰): "왕이(王) 저에게 시킨 것이(使諸梁也) 매우 중요한데(甚重), 제나라가(齊之) 사신을 대하면서(待使者), 대체로(蓋將) 매우 공경하지만(甚敬而) 급하게 여기지 않습니다(不急). 필부라도(匹夫) 오히려(猶) 움직이게 할 수 없는데(未可動, 而) 하물며(況) 제후는 어떻겠습니까(諸侯乎)! 내가(吾) 그것을 매우 두렵게 생각합니다(甚慄之).   子常語諸梁也, 曰: '凡事若小若大, 寡不道以懽成. 事若不成, 則必有人道之患; 事若成, 則必有陰陽之患. 若成若不成而後無患者, 唯有德者能之.' 吾食也.. 2024. 10. 9.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40] 반자도지동(反者道之動) / 돌아가는 것이 도의 움직임이다 反者道之動,(반자도지동)돌아가는 것이(反者) 도의 움직임이고(道之動),  高以下爲基, 貴以賤爲本, 有以無爲用, 此其反也. 動皆知其所無, 則物通矣. 故曰, 反者道之動也. 높음은(高) 낮음을 기초로 삼고(以下爲基), 귀함은(貴) 천함을 근본으로 삼고(以賤爲本), 있음은(有) 없음을 쓰임으로 삼고(以無爲用), 이것이(此) 그 돌아감이다(其反也). 움직임에서(動) 모두(皆) 그 없는 것을 안다면(知其所無, 則) 만물이 통한다(物通矣).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돌아감이(反者) 도의 움직임이다(道之動也).  弱者道之用.(약자도지용)약한 것은(弱者) 도의 쓰임이다(道之用).  부드러움과 약은(柔弱) 함께 통하고(同通), 다할 수 없다(不可窮極).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천하만물생어유 유생어무)천하 만물은(.. 2024. 4. 30.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39] 석지득일자(昔之得一者) / 예로부터 하나를 얻은 것이 있다 昔之得一者,(석지득일자)옛날(昔之) 하나를 얻은 것은(得一者),  昔, 始也. 一, 數之始而物之極也. 各是一物之生, 所以爲主也. 物皆各得此一以成, 既成而舍以居成, 居成則失其母, 故皆裂發歇竭滅蹶也. 석은(昔), 시작이다(始也). 하나는(一), 수의 시작이고(數之始而) 만물의 궁극이다(物之極也). 각자(各) 이 하나가(是一物之) 태어나게 하고(生), 주인이 되는 까닭이다(所以爲主也). 만물이 모두(物皆) 각자(各) 이 하나를 얻어(得此一以) 이루어지고(成), 이루어지고 나면(既成而) 버리고서(舍以) 이루어짐에 머물고(居成), 이루어짐에 머물면(居成則失) 그 어미를 잃고(其母), 그러므로(故) 모두(皆) 찢어지고 마르고 다하고 없어지고 넘어진다(裂發歇竭滅蹶也).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 2024. 4. 30.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38] 상덕부덕(上德不德) / 최상의 덕은 덕을 덕으로 여기지 않는다(작성중)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상덕부덕 시이유덕 하덕불실적 시이무덕) 上德無爲而無以爲; 下德爲之而有以爲.(상덕무위이무이위 하덕위지이유이위) 上仁爲之而無以爲; 上義爲之而有以爲.(상인위지이무이위 상의위지이유이위) 上禮爲之而莫之應, 則攘臂而扔之.(상례위지지막지응 즉양비이잉지)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고실도이후덕 실덕이후인 실인이후의 실의이후예)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부례자 충신지박 이란지수) 前識者, 道之華, 而愚之始.(전식자 도지화 이우지시) 是以大丈夫處其厚,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시이대장부처기후 불거기박 처기실 불거기화) 故去彼取此.(고거피취차) 최상의 덕은(上德) 덕으로 여기지 않고(不德), 이 때문에(是以) 덕이 있고(有德); 낮은 덕은 덕을.. 2024. 4. 23.
[장자(莊子) 인간세(人間世) 4-1] 안회가 공자에게 위나라로 가는 것에 대해 묻다 顔回見仲尼, 請行. 曰: “奚之?” 曰: “將之衛.” 曰: “奚爲焉?” 曰: “回聞衛君, 其年壯, 其行獨. 輕用其國而不見其過. 輕用民死, 死者以國量, 乎澤若蕉, 民其無如矣! 回嘗聞之夫子曰: ‘治國去之, 亂國就之. 醫門多疾.’ 願以所聞思其〈所行〉, 則庶幾其國有瘳乎!” 안회가(顔回) 중니를 보고(見仲尼), 떠날 것을 청했다(請行). 말하길(曰): “어디로 가려느냐(奚之)?”라고 했다. 말하길(曰): “위나라로 가려고 합니다(將之衛).”라고 했다. 말하길(曰): “무엇을 하려느냐(奚爲焉)?”라고 했다. 말하길(曰): “제가 들으니(回聞) 위나라 임금이(衛君), 그 나이가(其年) 젊고(壯), 그 행실이(其行) 독선적입니다(獨). 자기 나라를 가벼이 쓰고(輕用其國而) 자기 잘못을 보지 못합니다(不見其過)... 2024. 4. 22.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37] 도상무위 무명지박(道常無爲 無名之樸) / 이름 없는 통나무의 소박함 道常無爲(도상무위) 도는(道) 늘(常) 함이 없고(無爲) 順自然也. 스스로 그러함을 따르다(順自然也). 而無不爲.(이무불위) 그리고(而) 하지 않는 것이 없다(無不爲). 萬物無不由爲, 以治以成也. 만물은(萬物) 말미암지 않는 것이 없고(無不由爲), 그것으로 다스려지고(以治) 그것으로 이루어진다(以成也). 侯王若能守之, 萬物將自化.(후왕약능수지 만물장자화) 化而欲作, 吾將鎮之以無名之樸.(화이욕작 오장진지이무명지박) 왕이(侯王) 만약(若) 그것을 지킬 수 있다면(能守之), 만물이(萬物) 장차(將) 스스로 변할 것이다(自化). 변화되었는데도(化而) 일으키려고 한다면(欲作), 내가(吾) 장차(將) 이름 없음의 소박함으로(以無名之樸) 그것을 누를 것이다(鎮之). * 侯王(후왕): 한 나라의 왕(王). 조그마한 나.. 2024. 4. 20.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36] 유약승강강(柔弱勝剛强) / 부드럽고 약한 것이 굳세고 강한 것을 이긴다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장욕흡지 필고장지 장욕약지 필고강지 장욕폐지 필고흥지 장욕탈지 필고여지 시위미명) 장차(將) 거두려고 하면(欲歙之), 반드시(必) 먼저 베풀어야 하고(固張之); 장차(將) 약하게 하려면(欲弱之), 반드시(必) 먼저 강하게 해야 하고(固强之); 장차(將) 없애려고 하면(欲廢之), 반드시(必) 먼저 북동아 주고(固興之); 장차(將) 빼앗으려고 하면(欲奪之),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必固與之). 이것을(是) 미묘한 밝음이라고 한다(謂微明). 將欲除强梁, 去暴亂, 當以此四者. 因物之性, 令其自戮, 不假刑爲大, 以除將物也, 故曰微明也. 足其張, 令之足而又求其張, 則衆所歙也, 與其張之不足而改其求張者, 愈益而已, 反危... 2024. 4. 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