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자(莊子)85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도(天道) 13-2] 만물지본(萬物之本) - 허와 정은 만물의 근본이다 夫虛靜恬淡寂漠無爲者, 天地之平而道德之至也.(부허정염담적막무위자 천지지평이도덕지지야) 故帝王聖人休焉.(고제왕성인휴언) 休則虛, 虛則實, 實則倫矣.(휴즉허 허즉실 실즉윤의) 虛則靜, 靜則動, 動則得矣.(허즉정 정즉동 동즉득의) 靜則無爲, 無爲也, 則任事者責矣.(정즉무위 무위야 즉임사자책의) 無爲則兪兪. 兪兪者, 憂患不能處, 年壽長矣.(무위즉유유 유유자 우환불능처 연수장의) 夫虛靜恬淡寂漠無爲者, 萬物之本也.(부허정담염적막무위자 만물지본야) 明此以南鄕, 堯之爲君也;(명차이남향 요지위군야) 明此以北面, 舜之爲臣也.(명차이북면 순지위신야) 以此處上, 帝王天子之德也;(이차처상 제왕천자지덕야) 以此處下, 玄聖素王之道也.(이차처하 현성소왕지도야) 以此退居而閑游, 江海山林之士服;(이차퇴거이한유 강해산림지사복) 以此進爲而撫.. 2024. 12. 17.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도(天道) 13-1] 천지지감(天地之鑒) - 성인의 마음은 천지와 만물의 거울이다 天道運而無所積, 故萬物成;(천도운이무소적 고만물성) 帝道運而無所積, 故天下歸;(제도운이무소적 고천하귀) 聖道運而無所積, 故海內服.(성도운이무소적 고해내복) 明於天, 通於聖, 六通四辟於帝王之德者, 其自爲也, 昧然無不靜者矣!(명어천 통어성 육통사벽어제왕지덕자 기자위야 매연무부정자의) 聖人之靜也, 非曰靜也善, 故靜也. (성인지정야 비왈정야선 고정야) 萬物無足以鐃心者, 故靜也.(만물무족이요심자 고정야) 水靜則明燭須眉, 平中准, 大匠取法焉.(수정즉명촉수미 평중준) 水靜猶明, 而况精神聖人之心靜乎!(수정유명 이황정신성인지심정호) 天地之鑒也, 萬物之鏡也.(천지지감야 만물지경야)하늘의 도는(天道) 운행하지만(運而) 쌓이는(정체되는) 것이 없고(無所積), 그러므로(故) 만물이 이루어지고(萬物成); 제왕의 도는 운행하지만(.. 2024. 12. 16.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15] 백년지목(百年之木) - 100년 된 나무가 그 본성을 잃은 것은 같다 百年之木, 破爲犠尊, 靑黃而文之, 其斷在溝中.(백년지목 파위희준 청황이문지 기단재구중) 比犠尊於溝中之斷, 則美惡有間矣, 其於失性一也.(비희준어구중지단 즉미오유간의 기어실성일야) 跖與曾·史, 行義有間矣, 然其失性均也.(도여증사 행의유간의 연기실성균야)백년 된 나무를(百年之木), 쪼개서(破) 제사용 술통을 만들고(爲犠尊), 푸른색과 누런색으로(靑黃而) 그것을 꾸미고(文之), 그 잘린 것은(其斷) 도랑 가운데 있다(버려진다)(在溝中). 제사용 술통을(犠尊) 도랑의 잘린 것에(於溝中之斷) 비교한다면(比, 則) 그 아름답고 추한 것에는(美惡) 사이가 있지만(有間矣), 그(其) 성을 잃은 것에 대해서는(於失性) 같다(一也). 도척과(跖與) 증자와 사추는(曾·史), 의를 행한 것에는(行義) 사이가 있지만(有間矣), .. 2024. 12. 13.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14] 아첨하고 아부하지 않는 것 孝子不諛其親, 忠臣不諂其君, 臣·子之盛也.(효자불유기친 충신불아기군 신자지성야) 親之所言而然, 所行而善, 則世俗謂之不肖子;(친지소언이연 소행이선 즉세속위지불초자) 君之所言而然, 所行而善, 則世俗謂之不肖臣.(군지소언이연 소행이선 즉세속위지불초신) 而未知此其必然耶?(이미지차기필연야)효자는(孝子) 그 부모에게(其親) 아첨하지 않고(不諛), 충신이(忠臣) 그 임금에게 아첨하지 않는 것이(不諂其君), 신하와 자식이(臣·子之) 두터운 것이다(盛也). 부모가(親之) 말한 것이면(所言而) 그렇다고 하고(然), 행한 것이면(所行而) 좋다고 하면(善, 則) 세속에서(世俗) 그를 불초자라 하고(謂之不肖子); 임금이 말한 것이면(君之所言而) 그렇다고 하고(然), 행한 것이면 좋다고 여긴다면(所行而善, 則) 세상 사람들이(世俗.. 2024. 12. 12.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13] 천하균치(天下均治) - 천하가 고르게 다스려진다는 것 門無鬼與赤張滿稽觀於武王之師,(무문귀여적장만계관어무왕지사) 赤張滿稽曰:(적장만계왈) “不及有虞氏乎! 故離此患也.”(불급유우씨호 고리차환야) 門無鬼曰:(무문귀왈) “天下均治而有虞氏治之耶? 其亂而後治之與?”(천하균치이유우씨치지야 기란이후치지여) 赤張滿稽曰:(적장만계왈) “天下均治之爲願, 而何計以有虞氏爲!(천하균치지위원 이하계이유우씨위) 有虞氏之藥瘍也, 禿而施髢, 病而求醫.(유우씨지약탕야 독이시체 병이구의) 孝子操藥以修慈父, 其色燋然, 聖人羞之.(효자조약이수자부 기색초연 성인수지) 至德之世, 不尙賢, 不使能, 上如標枝, 民如野鹿.(지덕지세 불상현 불사능 상여표지 민여야록) 端正而不知以爲義, 相愛而不知以爲仁, 實而不知以爲忠, (단정이부지이위의 상애이부지이위인 실이부지이위충) 當而不知以爲信, 蠢動而相使不以爲賜.(당.. 2024. 12. 11.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12] 순망이 동해 바다에서 노닐려고 하다 諄芒將東之大壑, 適遇苑風於東海之濱.(순망장동지대학 적우원풍어동해지빈) 苑風曰: “子將奚之?”(원풍왈 자장해지) 曰: “將之大壑.”(왈장지대학) 曰: “奚爲焉?”(왈해위언) 曰: “夫大壑之爲物也, 注焉而不滿, 酌焉而不竭. 吾將游焉!”(왈부대학지위물야 주언이불만 작언이불갈 오장유언) 苑風曰: “夫子無意於橫目之民乎? 願聞聖治.”(월풍왈 부자무의어횡목지민호 원문성치) 諄芒曰: “聖治乎?(순망왈 성치호) 官施而不失其宜, 拔擧而不失其能, 畢見其情事而行其所爲, 行言自爲而天下化.(관시이불실기의 발거이불실기능 필견이정사이행기소위 행언자위이천하화) 手撓顧指, 四方之民莫不俱至, 此之謂聖治.”(수요고지 사방지민막불구지 차지위성치) “願聞德人.”(원문덕인) 曰: “德人者, 居無思, 行無慮, 不藏是非美惡.(왈덕인자 거무사 행무려.. 2024. 12. 10.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11] 혼돈씨의 설에 현혹되지 말아라 子貢南游於楚, 反於晉,(자공남유어초 반어진) 過漢陰, 見一丈人方將爲圃畦,(과한음 견일장인방장위포휴) 鑿隧而入井, 抱甕而出灌, 搰搰然用力甚多而見功寡.(착수이정입 포옹이출관 골골연용력심다이견공과) 자공이(子貢) 남으로(南) 초나라에 갔다가(游於楚), 진나라에 돌아오면서(反於晉), 한음을 지나다가(過漢陰), 한 노인이(一丈人) 막(方) 밭일을 하려는 것을(將爲圃畦) 보았는데(見), 우물을 파고(鑿隧而) 우물에 들어가(入井), 독을 안고서(抱甕而) 나와(出) 물을 대는데(灌), 애써 힘쓰는 것은(搰搰然用力) 매우 많았지만(甚多而) 성과가 적은 것을 보았다(見功寡).   * 一丈人: 丈人은 연장자에 대한 존칭이다(方勇‧陸永品). 우리말 ‘어르신’에 해당한다.* 方將爲圃畦: 圃와 畦는 모두 채마밭을 뜻하고 그중에서.. 2024. 12. 9.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10] 교화되어도 백성이 그 까닭을 알지 못한다 蔣閭葂見季徹曰:(장려면견계철왈) “魯君謂葂也曰: ‘請受敎.’ 辭不獲命.(노군위면야왈 청수교 사불획명) 旣已告矣, 未知中否. 請嘗薦之.(기이고의 미지중부 청상천지) 吾謂魯君曰: ‘必服恭儉, 拔出公忠之屬而無阿私, 民孰敢不輯!’”(오위노군왈 필복공검 발출공충지속이무아사 민숙감부집)장려면이(蔣閭葂) 계철을 만나 말하길(見季徹曰): “노군이(魯君) 면에게 말한 것이(謂葂也曰): ‘청컨대(請) 가르침을 받고 싶습니다(受敎).’라고 하기에, 사양했지만(辭) 명(허락)을 받지 못했다(不獲命)라고 했다. 이미(旣已) 고했는데(告矣), 맞는지 아닌지 알지 못하겠으니(未知中否), 청컨대(請) 시험 삼아(嘗) 그것을 말해보려고 합니다(薦之)라고 했다. 내가(吾) 노군에게 말하길(謂魯君曰): ‘반드시(必) 몸소(服) 공경하고 .. 2024. 12. 6.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9] 망기지인(忘己之人) - 자기를 잊는 사람을 하늘에 들어갔다고 한다 夫子問於老聃曰:(부자문어노담왈) “有人治道若相放, 可不可, 然不然. 辯者有言曰: ‘離堅白, 若縣寓.’ 若是則可謂聖人乎?” 선생(공자)이(夫子) 노담에게 묻기를(問於老聃曰): “도를 닦은 사람이 있어(有人治道) 만약(若) 서로 어긋난다면(相放), 옳은 것을 옳지 않다고 하고(可不可), 그렇지 않은 것을 그렇다고 합니다(然不然). 변론가들에게(辯者) 말이 있으니(有言曰): ‘단단한 것과 흰 것을 나누는 것이(離堅白), 마치(若) 집에 매단 것처럼 분명하다(縣寓).’라고 합니다. 이와 같다면(若是則) 성인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可謂聖人乎)?”라고 했다. * 有人治道: 도를 닦은 사람이 있음. 治道는 修道와 같다.* 若相放{: 放은 어긋난다는 뜻으로 논쟁을 좋아하여 다른 사람의 말을 거스르는 것이다.* 離堅白.. 2024. 12. 4.
[장자(莊子) 외편(外篇) 천지(天地) 12-8] 태초유무(泰初有無) - 태초에 없음만 있었다 泰初有無, 無有無名.(태초유무 무유무명)태초에(泰初) 없음이 있었고(有無), 있음도 없고(無有) 이름도 없었다(無名).  一之所起, 有一而未形.(일지소기 유일이미형) 物得以生謂之德;(물득이생위지덕) 未形者有分, 且然無間謂之命; (미형자유분 차연무간위지명) 留動而生物, 物成生理謂之形;(유동이생물 물성생리위지형) 形體保神, 各有儀則謂之性;(형체보신 각유의칙위지성) 性修反德, 德至同於初.(성수반덕 덕지동어초)하나가(一之) 일어나니(所起), 하나가 있었지만(有一而) 아직 형체가 없었다(未形). 만물이(物) 이것을 얻어서(得以) 생겨났는데(生) 이것을 덕이라 하고(謂之德); 아직 형체가 있지 않은 것에(未形者) 구분이 있었는데(有分), 그러나(且然) 사이가 없는 것(無間) 이것을 명이라 하고(謂之命); 움직임을 .. 2024. 12.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