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장자(莊子)85

[장자(莊子) 외편(外篇) 재유(在宥) 11-3] 지도지정(至道之精) / 광성자가 황제에게 지극한 도의 정수를 말하다 黃帝立爲天子十九年, 令行天下,(황제립위천자십구년 영행천하) 聞廣成子在於空同之上, 故往見之, 曰:(문광성자재어공동지상 고왕견지왈) “我聞吾子達於至道, 敢問至道之精.(아문오자달어지도 감문지도지정) 吾欲取天地之精, 以佐五穀, 以養民人.(오욕취천지지어 이좌오곡 이양민인) 吾又欲官陰陽以遂群生, 爲之奈何?”(오우욕관음양이수군생 위지내하)황제가(黃帝) 즉위하여(立) 천자가 되어(爲天子) 19년이 지나(十九年), 천하에(天下) 령이 시행되었는데(令行), 광성자가(廣成子) 공동산 위에 있다는 말을(在於空同之上) 들었고(聞), 그러므로(故) 찾아가 만나서 말하길(往見之, 曰): “나는(我) 그대가(吾子) 지극한 도에 이르렀다고(達於至道) 들었는데(聞), 감히(敢) 지극한 도의 정수를(至道之精) 묻습니다(問). 내가(吾) .. 2024. 11. 22.
[장자(莊子) 외편(外篇) 재유(在宥) 11-2] 절성기지 천하대치(絶聖棄知 天下大治) / 사람의 마음을 흔들지 말아라 崔瞿問於老聃曰: “不治天下, 安藏人心?”(최구문어노담왈 불치천하 안장인심) 老聃曰: “女愼, 無攖人心.(노담왈 여신무영인심) 人心排下而進上, 上下囚殺,(인심배하이진상 상하인살) 淖約柔乎剛强, 廉劌雕琢, 其熱焦火, 其寒凝冰, 其疾俯仰之間而再撫四海之外.(조약유호강강 염귀조탁 기열초화 기한응빙 기질부앙지간이재무사해지외)  其居也, 淵而靜; 其動也, 縣而天.(기거야 연이정 기동야 현이천) 僨驕而不可系者, 其唯人心乎!(분교이불가계자 기유인심호)최구가(崔瞿) 노담에게 묻기를(問於老聃曰): “천하를 다스리지 않으면(不治天下), 사람의 마음을(人心) 어찌(安) 착하게 할 수 있나요(藏)?”라고 했다.노담이 말하길(老聃曰): “너의 삼감으로(女愼), 사람의 마음을(人心) 어지럽히지 말아라(無攖). 사람의 마음은(人心) .. 2024. 11. 20.
[장자(莊子) 외편(外篇) 재유(在宥) 11-1] 재유천하(在宥天下) / 천하는 그대로 놓아두는 것이다 聞在宥天下, 不聞治天下也.(문재유천하 불문치천하야) 在之也者, 恐天下之淫其性也;(재지야자 공천하지음기성야) 宥之也者, 恐天下之遷其德也.(유지야자 공천하지천기덕야) 天下不淫其性, 不遷其德, 有治天下者哉?(천하불음기성 불천기덕 유치천하자재)천하를(天下) 그대로 둔다는 것은(在宥) 들어봤지만(聞), 천하를 다스린다는 것은(治天下) 듣지 못했다(不聞也). 그대로 두는 것은(在之也者), 천하가(天下之) 그 본성을 어지럽힐까(淫其性) 걱정해서이고(恐也); 놓아두는 것은(宥之也者), 천하가 그 덕을 옮길까 걱정해서이다(恐天下之遷其德也). 천하가(天下) 그 본성을 어지럽히지 않고(不淫其性), 그 덕을 옮기지 않으면(不遷其德), 천하를 다스리는 일이(治天下者) 있겠는가(有哉)?  * 在宥天下: 在는 成玄英이 “在는 있는.. 2024. 11. 19.
[장자(莊子) 외편(外篇) 거협(胠篋) 10-3] 인위적인 것이 세상을 혼란스럽게 만든다 子獨不知至德之世乎?(자독부지지덕지세호) 昔者容成氏·大庭氏·伯皇氏·中央氏·栗陸氏·驪畜氏·軒轅氏·赫胥氏·尊盧氏·祝融氏·伏羲氏·神農氏,(석자용성씨대정씨백황씨중앙씨율륙씨여축씨헌원씨혁서씨존로씨축융씨복희씨신농씨) 當是時也, 民結繩而用之, 甘其食, 美其服, 樂其俗, 安其居, 鄰國相望, 雞狗之音相聞, 民至老死而不相往來.(당시시야 민결승이용지 감기식 미기복 락기속 안기거 인국상망 계구지음상문 민지노사이불상왕래) 若此之時, 則至治已.(약차지시 즉지치이)그대는(子) 다만(獨) 지극한 덕의 세상을(至德之世) 알지 못하는가(不知乎)? 옛날(昔者) 용성씨, 대정씨, 백황씨, 중앙씨, 율륙씨, 여축씨, 헌원씨, 혁서씨, 존로씨, 축융씨, 복희씨, 신농씨가 있었는데(容成氏·大庭氏·伯皇氏·中央氏·栗陸氏·驪畜氏·軒轅氏·赫胥氏·尊盧氏·祝.. 2024. 11. 18.
[장자(莊子) 외편(外篇) 거협(胠篋) 10-2] 대교약졸(大巧若拙) / 큰 솜씨는 오히려 서툴게 보인다 故曰: "脣竭則齒寒, 魯酒薄而邯鄲圍, 聖人生而大盜起."(순갈즉치한 노주박이한단위 성인생이대도기) 掊擊聖人, 縱舍盜賊, 而天下始治矣.(배격성인 종사도적 이천하시치의) 夫川竭而谷虛, 丘夷而淵實.(부천갈이곡허 구이이연실) 聖人已死, 則大盜不起, 天下平而無故矣. 聖人不死, 大盜不止.(성인이사 즉대도불기 천하평이무고의 성인불사 대도부지)그러므로 말하길(故曰): "입술이 없어지면(脣竭則) 이빨이 시리고(齒寒), 노나라의 술이(魯酒) 맛없어서(薄而) 한단이(邯鄲) 포위되었고(圍), 성인이 나고(聖人生而) 큰 도둑이 일어났다(大盜起)."라고 했다.성인을 배격하고(掊擊聖人), 도적을 풀어놓아야(縱舍盜賊, 而) 천하가(天下) 비로소(始) 다스려진다(治矣). 무릇(夫) 천이 없어지면(川竭而) 곡이 비고(谷虛), 언덕이 무너.. 2024. 11. 17.
[장자(莊子) 외편(外篇) 거협(胠篋) 10-1] 성인이 천하를 해치는 것이 많다 將爲胠篋·探囊·發匱之盜而爲守備,(장위거협탐낭발궤지도이위수비) 則必攝緘·縢, 固扃·鐍, 此世俗之所謂知也. (즉필섭감등 고경휼 차세속지소위지야) 然而巨盜至, 則負匱·揭篋·擔囊而趨, 唯恐緘·縢·扃·鐍之不固也.(연이거도지 즉부궤걸협담낭이추 유공섬감경휼지불고야) 然則鄕之所謂知者, 不乃爲大盜積者也?(연즉향지소위지자 불내위대도적자야)작은 상자를 열고, 주머니를 뒤지고, 궤짝을 뜯는 도둑을(胠篋·探囊·發匱之盜) 장차 염려해서(將爲而) 지키고 방비하려면(爲守備, 則) 반드시(必) 끈이나 줄로 잡아매고(攝緘·縢), 빗장과 걸쇠를 단단히 해야 하니(固扃·鐍), 이것은(此) 세속에서(世俗之) 이른바(所謂) 지혜다(知也). 그렇지만(然而) 큰 도둑이(巨盜) 오면(至, 則) 궤짝을 지고(負匱), 상자를 들고(揭篋), 주머니를 메.. 2024. 11. 15.
[장자(莊子) 외편(外篇) 마제(馬蹄) 9-3] 성인지과(聖人之過) / 예악과 인의로 그칠 줄 모르게 만들었다 夫馬, 陸居則食草飮水, 喜則交頸相靡, 怒則分背相踶.(부마 육거즉식초음수 희즉교경상마 노즉분배상제) 馬知已此矣.(마지이차의) 夫加之以衡扼, 齊之以月題, 而馬知介倪·闉扼·鷙曼·詭銜·竊轡.(부가지이횡액 제지이월제 이마지개예인액지만궤함절비) 故馬之知而態至盜者, 伯樂之罪也.(고마지지이태지도자 백락지죄야)무릇 말이란(夫馬), 땅에 살면서(陸居則) 풀을 먹고(食草) 물을 마시며(飮水), 기쁘면(喜則) 목을 맞대고(交頸) 서로 비비고(相靡), 화나면(怒則) 등을 나누고(서로 맞대지 않고)(分背) 서로 발길질한다(相踶). 말은(馬) 이것에서 그칠 줄(已此) 안다(知矣). 무릇(夫) 가로나무와 멍에를(以衡扼) 말에게 매달고(加之), 월제로(以月題) 가지런하게 정돈하도록 만들자(齊之, 而) 말이(馬) 끌채 끝을 부러뜨리고(.. 2024. 11. 14.
[장자(莊子) 외편(外篇) 마제(馬蹄) 9-2] 성인지과(聖人之過) / 성인은 도덕을 훼손하여 인의를 만든 사람이다 吾意善治天下者不然.(오의선치천하자불연) 彼民有常性, 織而衣, 耕而食, 是謂同德;(피민유상성 직이의 경이식 시위동덕) 一而不黨, 命曰天放.(일이부당 명왈천방) 내가 생각기로(吾意) 천하를 잘 다스리는 사람은(善治天下者) 그렇지 않다(不然). 저 백성에게(彼民) 늘 본성이 있어서(有常性), 길쌈해서(織而) 옷 입고(衣), 농사지어서 밥 먹는 것을(耕而食), 이것을(是) 같은 덕이라 하고(謂同德); 같지만(一而) 패거리로 한 것이 아니어서(不黨), 이름하여(命) 하늘이 놓아준 것이라고 한다(曰天放).  * 命曰天放: 天放은 하늘이 놓아준 것, 自然의 放任을 의미하고 命은 命名의 뜻이다.  故至德之世, 其行塡塡, 其視顚顚.(고지덕지세 기행전전 기시전전) 當是時也, 山無蹊隧, 澤無舟梁;(당시시야 산무혜수 택무주량.. 2024. 11. 14.
[장자(莊子) 외편(外篇) 마제(馬蹄) 9-1] 자연 그대로의 본성에 맡겨 두어야 한다 馬, 蹄可以踐霜雪, 毛可以禦風寒, 齕草飮水, 翹足而陸. 此馬之真性也.(마제가이천상설 모가이어풍한 흘초음수 교족이륙 차마지진성야) 雖有義臺·路寢, 無所用之.(수유의대노침 무소용지) 말은(馬), 발굽으로(蹄) 서리와 눈을 밟을 수있고(可以踐霜雪), 털로 바람과 추위를 막을 수 있고(毛可以禦風寒), 풀을 씹고(齕草) 물을 마시고(飮水), 발을 들어(翹足而) 뛸 수 있다(陸). 이것이(此) 말의(馬之) 참된 본성이다(真性也). 비록( 雖) 높은 대와(義臺) 큰 집이 있더라도(有路寢), 쓸 곳이 없다(無所用之).  * 翹(교)足而陸: 翹는 蹻의 가차로 든다[擧]는 뜻이고, 陸은 馬坴의 가차로 뛰어다닌다는 뜻이다. 及至伯樂, 曰: "我善治馬."(급지백락왈 아선치마) 燒之剔之, 刻之雒之, 連之以羈馽, 編之以皁棧, 馬.. 2024. 11. 13.
[장자(莊子) 외편(外篇) 변무(應帝王) 8-3] 사람들은 모두 본성을 해치고 따라 죽는다 故嘗試論之, 自三代以下者, 天下莫不以物易其性矣.(고상시론지 자삼대이하자 천하막불이물역기성의) 小人則以身殉利, 士則以身殉名, 大夫則以身殉家, 聖人則以身殉天下.(소인즉이신순리 사즉이신순명 대부즉이신순가 성인즉이신순천하) 故此數子者, 事業不同, 名聲異號, 其於傷性以身爲殉, 一也.(고차수자자 사업부동 명성이호 기어상성이신위순 일야)그러므로(故) 시험삼아(嘗試) 말해본다면(論之), 삼대로부터(自三代) 그 뒤로(以下者), 천하에(天下) 누구도(莫) 외물로(以物) 그 본성을 바꾸지 않은 사람이(不易其性) 없다(矣). 소인은(小人則) 몸으로(以身) 이익을 따라 죽고(殉利), 사는 몸으로 명예를 따라 죽고(士則以身殉名), 대부는 몸으로 가를 따라 죽고(大夫則以身殉家), 성인은 몸으로 천하를 따라 죽었다(聖人則以身殉天下).. 2024. 11.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