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嘗試論之, 自三代以下者, 天下莫不以物易其性矣.(고상시론지 자삼대이하자 천하막불이물역기성의) 小人則以身殉利, 士則以身殉名, 大夫則以身殉家, 聖人則以身殉天下.(소인즉이신순리 사즉이신순명 대부즉이신순가 성인즉이신순천하) 故此數子者, 事業不同, 名聲異號, 其於傷性以身爲殉, 一也.(고차수자자 사업부동 명성이호 기어상성이신위순 일야)
그러므로(故) 시험삼아(嘗試) 말해본다면(論之), 삼대로부터(自三代) 그 뒤로(以下者), 천하에(天下) 누구도(莫) 외물로(以物) 그 본성을 바꾸지 않은 사람이(不易其性) 없다(矣). 소인은(小人則) 몸으로(以身) 이익을 따라 죽고(殉利), 사는 몸으로 명예를 따라 죽고(士則以身殉名), 대부는 몸으로 가를 따라 죽고(大夫則以身殉家), 성인은 몸으로 천하를 따라 죽었다(聖人則以身殉天下). 그러므로(故) 이 몇 사람은(此數子者), 사업이(事業) 같지 않고(不同), 명성이(名聲) 호칭을 달리하지만(異號), 그가(其) 본성을 해쳐서(傷性) 몸으로 따라 죽게 만든 것에 있어서는(於以身爲殉), 같다(一也).
臧與穀, 二人相與牧羊, 而俱亡其羊.(장여곡 이인상여목양 이구망기양) 問臧奚事, 則挾筴讀書; 問穀奚事, 則博塞以遊.(문장해사 즉협책독서 문곡해사 즉박색이유) 二人者, 事業不同, 其於亡羊均也.(이인자 사업부동 기어망양균야) 伯夷死名於首陽之下, 盜跖死利於東陵之上.(백이사명어수양지하 도척사리어동릉지상) 二人者, 所死不同, 其於殘生傷性均也, 奚必伯夷之是而盜跖之非乎?(이인자 소사부동 기어잔생상성균야 해필백이지시이도척지비호) 天下盡殉也.(천하진순야)
장과 곡(臧與穀), 두 사람이(二人) 서로(相) 함께(與) 양을 놓아 먹였는데(牧羊, 而) 모두(俱) 자기 양을 잃었다(亡其羊). 장에게 무슨 일인가를 물으니(問臧奚事, 則) 채찍(책)을 끼고(挾筴) 글을 읽었고(讀書); 곡에게 무슨 일인가를 물으니(問穀奚事, 則) 주사위를 하며(博塞以) 놀았다(遊). 두 사람이(二人者), 사업은 같지 않지만(事業不同), 그 양을 잃은 것에 대해서는(其於亡羊) 같다(均也). 백이가(伯夷) 수양산 아래서(於首陽之下) 명성을 위해 죽었고(死名), 도척이(盜跖) 동릉 위에서 이익을 위해 죽었다(死利於東陵之上). 두 사람이(二人者), 죽은 것은(所死) 같지 않지만(不同), 생을 해치고 성을 상하게 한 것에 대해서는(其於殘生傷性) 같으니(均也), 어찌(奚) 반드시(必) 백이가 옳고(伯夷之是而) 도촉은 그르다고 하겠는가(盜跖之非乎)?
彼其所殉仁義也, 則俗謂之君子; 其所殉貨財也, 則俗謂之小人.(피기소순인의야 즉속위지군자 기소순재화야 즉속위지소인) 其殉一也, 則有君子焉, 有小人焉; 若其殘生損性, 則盜跖亦伯夷已, 又惡取君子小人於其間哉?(기순일야 즉유군자언 유소인언 약기잔생손성 즉도척역백이이 우오취군자소인어기간재)
천하 사람들은(天下) 모두(盡) 따라 죽는다(殉也). 저 사람이(彼) 따라 죽은 것이(其所殉) 인의라면(仁義也, 則) 세속 사람들은(俗) 군자라고 하고(謂之君子); 그 따라 죽은 것이(其所殉) 재화라면(貨財也, 則) 세속 사람들은(俗) 소인이라고 한다(謂之小人). 그 따라 죽은 것이(其殉) 같으면서(一也, 則) 군자가 있고(有君子焉), 소인이 있으니(有小人焉); 만약(若) 그 생을 해치고 본성을 덜어낸 것이라면(其殘生損性, 則) 도척도 또한(盜跖亦) 백이일뿐이니(伯夷已), 또 어찌(又惡) 그 사이에서(於其間) 군자와 소인을 취하겠는가(取君子小人哉)?
且夫屬其性乎仁義者, 雖通如曾、史, 非吾所謂臧也;(차부속기성호인의자 수통여증사 비오소위장야) 屬其性於五味, 雖通如俞兒, 非吾所謂臧也;(속기성어오미 수통여유아 비오소위장야) 屬其性乎五聲, 雖通如師曠, 非吾所謂聰也;(속기성호오성 수통여사광 비오소위총야) 屬其性乎五色, 雖通如離朱, 非吾所謂明也.(속기성호오색 수통여리주 비오소위명야)
또(且夫) 자기 본성을(其性) 인의에(乎仁義) 종속시킨 사람은(屬者), 비록(雖) 증삼과 사추처럼(如曾、史) 통달했더라도(通), 내가 이른바(吾所謂) 훌륭한 사람이 아니고(非臧也); 그 본성을 오미에 종속시킨 사람은(屬其性於五味), 비록(雖) 유아처럼 통달했더라도(通如俞兒), 내가 이른바 훌륭한 사람이 아니고(非吾所謂臧也); 그 본성을 오성에 종속시킨 사람은(屬其性乎五聲), 비록 사광처럼 통달했더라도(雖通如師曠), 내가 이른바 귀 밝은 사람이 아니고(非吾所謂聰也); 그 성을 오색에 종속시킨 사람은(屬其性乎五色), 비록 이주처럼 통달했더라도(雖通如離朱), 내가 이른바 눈 밝은 사람이 아니다(非吾所謂明也).
* 非吾所謂臧也: 臧은 善으로, 여기서는 훌륭한 행위를 의미한다.
吾所謂臧者, 非仁義之謂也, 臧於其德而已矣; 吾所謂臧者, 非所謂仁義之謂也, 任其性命之情而已矣; 吾所謂聰者, 非謂其聞彼也, 自聞而已矣; 吾所謂明者, 非謂其見彼也, 自見而已矣.
내가 이른바(吾所謂) 훌륭한 것은(臧者), 인의를 말하는 것이 아니고(非仁義之謂也), 그 덕을 훌륭하다고 할 뿐이고(臧於其德而已矣); 내가 이른바 훌륭한 것은(吾所謂臧者), 인의를 말한 것이 아니고(非所謂仁義之謂也), 그 본성의 정에 맡기는 것일 뿐이고( 任其性命之情而已矣); 내가 이른바 귀 밝다고 한 것은(吾所謂聰者), 저것을 잘 듣는 것이 아니라(非謂其聞彼也), 자기를 잘 듣는 것을 말할 뿐이고(自聞而已矣); 내가 이른바 눈 밝다고 한 것은(吾所謂明者), 저것을 보는 것이 아니라(非謂其見彼也), 자기를 보는 것을 말할 뿐이다(自見而已矣).
* 適人之適而不自適其適: 適은 즐거워함(동사), 즐거움(명사)의 뜻.
夫不自見而見彼, 不自得而得彼者, 是得人之得而不自得其得者也, 適人之適而不自適其適者也. 夫適人之適而不自適其適, 雖盜跖與伯夷, 是同爲淫僻也. 余愧乎道德, 是以上不敢爲仁義之操, 而下不敢爲淫僻之行也.
무릇(夫) 자기를 보지 못하고(不自見而) 저것을 보며(見彼), 자기를 얻지 못하고(不自得而) 저것을 얻는 사람은(得彼者), 이것은(是) 남이 얻은 것을 얻고(得人之得而) 그 얻은 것을 스스로 얻지 못하는 사람이니(不自得其得者也), 남의 즐거움을 즐겁게 여기고(適人之適而) 그 즐거움을 스스로 즐기지 못하는 사람이다(不自適其適者也). 무릇( 夫) 남의 즐거움을 즐겁게 여기고(適人之適而) 그 즐거움을 스스로 즐기지 못하는 사람은(不自適其適), 비록(雖) 도척과 백이라도(盜跖與伯夷), 이것은(是) 똑같이(同) 지나친 행동이 된다(爲淫僻也). 나는(余) 도덕에 부끄러움을 느끼고(愧乎道德), 이 때문에(是以) 위로(上) 감히 인의를 붙잡지 않고(不敢爲仁義之操, 而) 아래로(下) 감히 지나친 행동을 하지 않는다(不敢爲淫僻之行也).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莊子) 외편(外篇) 마제(馬蹄) 9-2] 성인지과(聖人之過) / 성인은 도덕을 훼손하여 인의를 만든 사람이다 (0) | 2024.11.14 |
---|---|
[장자(莊子) 외편(外篇) 마제(馬蹄) 9-1] 자연 그대로의 본성에 맡겨 두어야 한다 (0) | 2024.11.13 |
[장자(莊子) 외편(外篇) 변무(應帝王) 8-2] 대혹역성(大惑易性) / 큰 미혹은 본성을 쉽게 바꾼다 (0) | 2024.11.07 |
[장자(莊子) 외편(外篇) 변무(應帝王) 8-1] 변무지지(駢拇枝指) / 인의는 아마 인간의 본성이 아닐 것이다 (0) | 2024.11.02 |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 7-5] 열자가 호자에게 어지러이 섞이는 것을 배우다 (0) | 2024.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