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7] 무사취천하(無事取天下) / 일삼는 것이 없이 천하를 취한다
以正治國, 以奇用兵, 以無事取天下.(이정치국 이기용병 이무사취천하)올바름으로(以正) 나라를 다스리고(治國), 기이한 계책으로(以奇) 군대를 쓰니(用兵), 일삼음 없음으로(以無事) 천하를 취한다(取天下). 以道治國則國平, 以正治國則奇(正)起也, 以無事則能取天下也. 上章云, 其取天下者, 常以無事, 及其有事, 又不足以取天下也. 故以正治國則不足以取天下, 而以奇用兵也夫. 以道治國, 崇本以息末, 以正治國, 立辟以攻末, 本不立而末淺, 民無所及, 故必至於奇用兵也. 도로(以道) 나라를 다스리면(治國則) 나라가 평안하고(國平), 올바람으로(以正) 나라를 다스리면(治國則) 기이한 것이 일어나고(奇(正)起也), 일삼음 없음으로 하면(以無事則) 천하를 취할 수 있다(能取天下也). 윗장에서 말하길(上章云), 그 천하를 취하는..
2024. 10. 23.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6-1] 고지진인(古之眞人) / 옛날 진인은 어떠했는가?
知天之所爲, 知人之所爲者, 至矣. 知天之所爲者, 天而生也; 知人之所爲者, 以其知之所知, 以養其知之所不知, 終其天年而不中道夭者, 是知之盛也. 雖然, 有患. 夫知有所待而後當, 其所待者特未定也. 庸詎知吾所謂天之非人乎? 所謂人之非天乎? 且有眞人, 而後有眞知. 하늘이(天之) 하는 것을(所爲) 알고(知), 사람이 하는 것을 아는(知人之所爲) 사람은(者), 지극한 경지다(至矣). 하늘이 하는 것을 아는 사람은(知天之所爲者), 하늘을 따라(天而) 살고(生也); 사람이 하는 것을 아는 사람은(知人之所爲者), 그 지식이(其知之) 아는 것으로 하고(以所知), 그 지식이 알지 못하는 것을(其知之所不知) 길러서 하고(以養), 그 천수를(其天年) 마쳐도(終而) 중도에 요절하지 않는 사람이니(不中道夭者), 이것은(是) 지식이 성대..
2024. 10. 23.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6] 지자불언 언자부지(知者不言 言者不知) / 말하지 않음의 도리
知者不言,(지자불언)아는 사람은(知者) 말하지 않고(不言), 因自然也. 스스로 그러함을 따른다(因自然也). 言者不知.(언자부지)말하는 사람은(言者) 알지 못한다(不知). 造事端也. 일의 실마리를(事端) 만든다(造也). 塞其兌, 閉其門, 挫其銳,(색기태 폐기문 좌기예)그 구멍을 막고(塞其兌), 그 문을 닫고(閉其門), 그 날카로움을 꺾고(挫其銳), 含守質也. 질박함을(質) 품어 지킨다(含守也). 解其分(紛),(해기분)그 나뉜(얽힌) 것을 풀고(解其分(紛)), 除爭原也. 싸움의 근원을(爭原) 없앤다(除也). 和其光,(화기광)그 빛을 부드럽게 하고(和其光), 無所特顯則物無所偏爭也. 특별히 드러나는 것이(所特顯) 없으면(無則) 만물에(物) 치우쳐 다투는 것이 없다(無所偏爭也). 同其塵..
2024. 10. 22.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5] 함덕지후 비어적자(含德之厚 比於赤子) / 두터운 덕은 어린아이에 견줄 수 있다
含德之厚, 比於赤子.(함덕지후 비어적자) 蜂蠆虺蛇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봉채훼사불석 맹수불거 확조불박)덕의 두터움을(德之厚) 머금은 사람은(含), 어린아이에 견줄 수 있다(比於赤子). 벌과 전갈, 도마뱀, 뱀도(蜂蠆虺蛇) 쏘지 않고(不螫), 맹수가 할퀴지 않고(猛獸不據), 날짐승이 낚아채지 않는다(攫鳥不搏). 赤子無求無欲, 不犯眾物, 故毒蟲之物無犯之人也. 舍德之厚者, 不犯於物, 故無物以損其全也. 어린아이는(赤子) 구하는 것이 없고(無求) 하려는 것이 없고(無欲), 여러 사물을 범하지 않고(不犯眾物), 그러므로(故) 독충도(毒蟲之物) 범하는 일이 없는(無犯之) 사람이다(人也). 덕의 두터움을 품은 사람은(舍德之厚者), 만물을 범하지 않고(不犯於物), 그러므로(故) 만물이(物) 그 온전함을 더는 일..
2024. 10. 22.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4] 선건자불발(善建者不拔) / 잘 세워진 것은 뽑히지 않는다
善建者不拔,(선건자불발)잘 세운 것은(善建者) 뽑히지 않고(不拔), 固其根而後營其末, 故不拔也. 그 뿌리를 굳세게 하고 나서(固其根而後) 그 가지를 돌보고(營其末), 그러므로(故) 뽑히지 않는다(不拔也). 善抱者不脫,(선포자불태)잘 껴안은 것은(善抱者) 벗겨지지 않으니(不脫), 不貪於多, 齊其所能, 故不脫也. 많은 것을(於多) 탐내지 않고(不貪), 그 할 수 있는 것을 이루고(齊其所能), 그러므로(故) 벗겨지지 않는다(不脫也). 子孫以祭祀不輟.(자손이제사불철)자손이(子孫) 이것으로 제사를 지내서(以祭祀) 끊어지지 않는다(不輟). 子孫傳此道以祭祀則不輟也. 자손이(子孫) 이 도를 전해서(傳此道以) 제사 지내면(祭祀則) 끊기지 않는다(不輟也). 修之於身, 其德乃眞; 修之於家, 其德乃餘; (수지..
2024. 10. 21.
[장자(莊子) 덕충부(德充符) 5-5] 잊지 말아야 할 것을 잊는 사람들
闉跂支離無脤說衛靈公, 靈公說之, 而視全人, 其脰肩肩. 甕盎大癭說齊桓公, 桓公說之, 而視全人, 其脰肩肩. 故德有所長, 而形有所忘, 人不忘其所忘, 而忘其所不忘, 此謂誠忘. 절름발이에 사지가 온전하지 않고 언청이인 사람이(闉跂支離無脤) 위령공에게 유세하자(說衛靈公), 영공이 기뻐했는데(靈公說之, 而) 온전한 사람을 보면(視全人), 목이 가늘고 길게 보였다(其脰肩肩). 목에 큰 혹이 달린 사람이(甕盎大癭) 제환공에게 유세하자(說齊桓公), 환공이 기뻐했는데(桓公說之, 而) 온전한 사람을 보면(視全人), 그 목이 가늘고 길어 보였다(其脰肩肩). 그러므로(故) 덕에(德) 뛰어난 것이 있으면(有所長, 而) 형체에(形) 잊는 것이 있고(有所忘), 사람들은(人) 잊을 것을(其所忘) 잊지 않고(不忘, 而) 잊지 말아야 할 ..
2024. 10. 21.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3] 대도심이(大道甚夷) / 큰 도는 아주 평탄한데 사람들은 지름길을 좋아한다
使我介然有知, 行於大道, 唯施是畏.(사아개연유지 행어대도 유시시외)만약(使) 나에게(我) 조금이라도(介然) 아는 것이 있어(有知), 큰 도를 행한다면(行於大道), 오직(唯) 베푸는 것은(施) 이것은 두렵다(是畏). * 介然(개연): 고립한 모양(模樣). 변절(變節) 하지 않는 모양(模樣), 잠시(暫時) 동안. 言若使我可介然有知, 行大道於天下, 唯施爲之是畏也. 만약(若使) 나에게(我) 조금이라도 아는 것이 있어서(可介然有知), 천하에(於天下) 대도를 행한다면(行大道), 오직(唯) 베풀어하는 것을(施爲之) 두려워한다는(是畏) 말이다(言也). 大道甚夷, 而民好徑.(대도심이 이민호경)큰 도는(大道) 아주 평탄한데(甚夷, 而) 사람들은(民) 샛길을 좋아한다(好徑). 言大道蕩然正平, 而民猶尙舍之而不由, 好..
2024. 10. 20.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2] 천하유시(天下有始) / 천하의 시작이 어머니가 된다
天下有始, 以爲天下母.(천하유시 이위천하모)천하에(天下) 시작이 있으니(有始), 천하의 어머니가 된다(以爲天下母). 善始之則善養畜之矣, 故天下有始則可以爲天下母矣. 잘 시작하면(善始之則) 잘 양육하고(善養畜之矣), 그러므로(故) 천하에(天下) 시작이 있으면(有始則) 천하의 어머니로 삼을 수 있다(可以爲天下母矣). 旣得其母, 以知其子, 旣知其子, 復守其母, 沒身不殆.(기득기모 이지기자 기지기자 부수기모 몰신불태)이미(旣) 그 어머니를 얻고서(得其母, 以) 그 자식을 알고(知其子), 이미(旣) 그 자식을 알고서(知其子), 다시(復) 그 어머니를 지키면(守其母), 종신토록(沒身) 위태롭지 않다(不殆). 母, 本也, 子, 末也. 得本以知末, 不舍本以逐末也. 어머니는 근본이고(母, 本也), 자식은 말단이다..
2024. 10. 20.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1] 생이불유 위이불시(生而不有 爲而不恃) /
道生之, 德畜之, 物形之, 勢成之.(도생지 덕휵지 물형지 세성지)도가 낳고(道生之), 덕이 기르고(德畜之), 만물이 형태를 만들고(物形之), 세가 이룬다(勢成之). 物生而後畜, 畜而後形, 形而後成, 何由而生? 道也; 何得而畜? 德也; 何由而形? 物也; 何使而成, 勢也. 唯因也, 故能無物而不形; 唯勢也, 故能無物而不成. 凡物之所以生, 功之所以成, 皆有所由, 有所由焉, 則莫不由乎道也. 故推而極之, 亦至道也. 隨其所因, 故各有稱焉. 만물이 생기고 나서(物生而後) 기르고(畜), 기르고 나서(畜而後) 형체가 드러나고(形), 형체가 드러나고 나서(形而後) 이루니(成), 무엇을 따라서(何由而) 생겨나는가(生)? 도이고(道也); 무엇을 얻어서 길러지는가(何得而畜)? 덕이고(德也); 무엇을 따라서 형체를 드러내는가(..
2024.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