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76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 3-4] 노담이 죽자 진일이 조문했다 / 노담사 진일조(老聃死 秦失吊) 老聃死, 秦失吊之, 三號而出. (노담사 진일조지 삼호이출) 노담이 죽자(老聃死), 진일이 그를 곡하면서(秦失吊之), 세 번 호곡하고 나왔다(三號而出). * 老聃: 老子. 노자가 누구인지에 관해서는 李耳라는 주장, 老聃이라는 주장, 老萊子라는 주장 등이 있으나, 《장자》에서는 ‘老聃曰’과 ‘老子曰’을 혼용하고 있으므로 여기의 老聃이 곧 老子라고 보는 것이 적절하다. 弟子曰: “非夫子之友耶?” (비부자지우야) 제자가 말하길(弟子曰): “선생님의 벗이(夫子之友) 아니신지요(非耶)?”라고 했다. 曰: “然.” 말하길(曰): “맞다(然).”라고 했다. “然則吊焉若此可乎?” “그렇다면(然則) 조문하는 것이(吊焉) 이와 같아도 되는지요(若此可乎)?”라고 했다. 曰: “然. 始也吾以爲其人也, 而今非也. 向吾入而吊焉, .. 2024. 2. 8.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 3-3] 못가의 꿩은 새장에서 길러지길 바라지 않는다 / 십보일탁 백보일음(十步一啄 百步一飮) 公文軒見右師而驚曰: “是何人也? 惡乎介也? 天與? 其人與?” (시하인야 오호개야 천여 기인여) 문간공이(公文軒) 우사를 보고(見右師而) 놀라서 말하길(驚曰): “이게(是) 어떤 사람인가(何人也)? 어찌(惡) 발이 하나뿐인가(乎介也)? 하늘이 그랬는가(天與)? 아니면 사람이 그랬는가(其人與)?”라고 했다. * 公文軒: 司馬彪와 成玄英은 姓이 公文이고, 이름이 軒이며, 宋나라 사람이라고 했다. 一說(赤塚忠)에 文軒은 아름다운 장식이 있는 수레이므로 公文軒이란 ‘화려한 무늬로 치장된 수레인 文軒을 타고 다니며 富貴榮華를 누리는 사람’을 뜻하는 文軒公을 거꾸로 公文軒이라고 寓意를 담아 표현한 것이라 했는데 적절한 풀이라 할 수 있다. * 右師: 春秋時代 宋나라의 官職名. 여기서는 右師로 있다가 刖刑을 받아 외발.. 2024. 2. 8.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 3-2] 포정의 신들린 소 해체술과 도의 관계 / 포정해우(庖丁解牛) 신분에 따라 차별이 심하던 시대에, 백정이 임금에게 도(道)를 논한다는 것은 역시나 장자의 우언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다. 하지만 이야기는 아주 심각하면서도 난해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다. 포정은 소를 잡을 때, 소의 드러난 모습만 보는 것이 아니라 겉모습 너머의 소의 내면까지 본다. 소의 내면을 보는 것을 소에 대한 해부학적 지식이라고 본다면 이것은 고급 기술 정도라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포정이 말하는 내면은 소를 ‘신(神)’으로 보는 것이고, 소를 잡을 때는 기술이 아니라 도를 좋아한다고 했다. 도대체 기술 이상의 도는 무엇인가? 庖丁爲文惠君解牛. 手之所觸, 肩之所倚, 足之所履, 膝之所踦, 砉然嚮然, 奏刀騞然, 莫不中音. 合於桑林之舞, 乃中經首之會. (포정위문혜군해우 수지소촉 견지소의 족지소리 슬지.. 2024. 1. 13.
[장자(莊子) 양생주(養生主) 3-1] 중을 삶의 원칙으로 삼으면 천수를 누릴 수 있다 / 연독이위경 가이진년(緣督以爲經 可以盡年) 양생(養生)에 관한 사상은 도가(道家)가 그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양생養生’은 생을 기른다는 뜻으로, 병에 걸리거나 불의의 사고로 횡사하지 않고 주어진 생명을 보존하여 타고난 수명을 온전히 누리는 것이다. 養生主의 ‘主’는 근본, 중심이란 뜻이다. 편명인 '양생주養生主'는 ‘養生을 근본적인 것[主]으로 삼는 것’, 또는 ‘養生의 근본적인 道’, ‘양생의 중심’ 등으로 풀이할 수 있다. 제1장은 총론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양생의 요체를 설명하고 있다. 일체의 선악과 시비를 無化시키는 中의 경지에 따르는 것[緣督]을 삶의 근본원리[經]로 삼아야 한다고 말한다. 吾生也有涯, 而知也無涯. (오생야유애 이지야무애) 내 삶에는(吾生也) 한계가 있지만(有涯, 而) 지식에는(知也) 한계가 없다(無涯). * 涯(애).. 2024. 1. 13.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3] 무위로 다스리지 못할 것이 없다 / 위무위 무불치(爲無爲 無不治) 3장은 죽간본에는 없는 내용이다. 묵자는 우민정치를 옹호하는 것이라고 비판하지만 노자의 말을 문자 그대로 이해하는 주석가는 별로 없다. 오히려 능력과 분수에 맞는 직책을 준다면 상현尙賢은 오히려 문제 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3.1 不尙賢, 使民不爭; 不貴難得之貨, 使民不爲盜; 不見可欲, 使民心不亂. (불상현 사민부쟁 불귀난득지화 사민불위도 불견가욕 사민심불란) 현인을 숭상하지 않으면(不尙賢),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싸우지 않게 할 수 있고(不爭); 얻기 어려운 재화를 귀하게 여기지 않으면(不貴難得之貨), 백성으로 하여금(使民) 도둑이 되지 않게 할 수 있고(不爲盜); 욕심낼 만한 것을 보여주지 않으면(不見可欲), 백성의 마음으로 하여금(使民心) 어지러워지지 않게 할 수 있다(不亂). 賢, 猶能也. .. 2024. 1. 9.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2] 아름다운 것과 추한 것 / 유무상생 난이상성(有無相生 難易相成) 노자는 아름다운 것과 선한 것이 사실은 추하고 선하지 않다고 말한다. 왕필은 이것을 마음의 작용이라고 풀이한다. 아까는 좋다가 지금은 싫어지는 것, 아름다움과 추함, 선과 불선은 모두 사람의 마음에서 비롯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높은 것과 낮은 것, 긴 것과 짧은 것은 모두 짝이 되어야만 존재한다. 이것이 모두 마음의 장난이니 자연에 맡겨야 한다. 2.1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천하개지미지위미 사오이 개지선지위선 사불선이)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고유무상생 낭이상성 장단상교 고하상경 음성상화 전후상수) 2.1 천하가(天下) 모두(皆) 아름다운 것을(美之) 아름답게 여길줄 알지만(知爲美), 이것은 추한 것이다(斯惡已). 모두(皆) 선한.. 2024. 1. 7.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1] 말로 표현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 도가 아니다 / 가도지도 비상도(可道之道 非其常) 왕필은 무를 상대적인 무와 절대적인 무로 나눠서 보고 있다. 상대적인 무는 상대적인 도이고 사물을 드러나게 하고 효용이 있게 하는 이면이다. 절대적인 무는 절대적인 도이고 몰아일체의 도다. 몰아일체의 도는 분별하려는 지(知)와 하고자 하는 욕(欲)을 제거할 때 도달할 수 있는 무위자연의 경지다. 1.1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도가도 비상도 명가명 비상명) 도를(道) 말로 표현할 수 있으면(可道), 영원한 도가 아니다(非常道). 이름을(名) 이름으로 규정할 수 있으면(可名), 영원한 이름이 아니다(非常名). * 《淮南子》에서 수레바퀴를 깎는 匠人인 윤편은 齊 桓公에게 聖人이 남긴 글[書]은 결국 실질적인 의미[實]는 사라지고 껍데기[糟粕]만 남은 것이고, 道는 가르칠 수도 배울 수도 없다고 .. 2024. 1. 5.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2-15] 나비의 꿈이냐 장주의 꿈이냐 / 호접지몽(胡蝶之夢) / 장주지몽(莊周之夢) 흔히 인생의 덧없음을 뜻하는 말로 일장춘몽이나 남가일몽과 같은 뜻이라고 풀이한다. 하지만 우화 자체만 놓고 본다면 이야기에서 후회나 회한이 감정은 보이지 않는다. 이야기 속에서는 장주가 매우 즐거운 꿈을 꾼 것으로 보인다. 깨고 나서도 내가 나비인지 나비가 나인지 모르는 장주와 나비라는 구분이 무의미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나와 나비의 구분은 인간이 하는 분별의 세계일 뿐이지 자연이 변화하는 원리에서 보면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해석을 하게 된다. 昔者莊周夢爲胡蝶, 栩栩然胡蝶也. 自喩適志與! 不知周也. 俄然覺, 則蘧蘧然周也. 不知周之夢爲胡蝶與? 胡蝶之夢爲周與?? 周與胡蝶則必有分矣. 此之謂物化. 예전에(昔者) 장주가(莊周) 꿈에(夢) 나비가 되었는데(爲胡蝶), 경쾌하게 훨훨 나는(栩栩然) 나비였다(胡蝶也). .. 2024. 1. 3.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2-14] 곁그림자와 진짜 그림자의 말장난 / 망량문경(罔兩問景) 罔兩問景曰: (망량문경왈) 곁그림자가(罔兩) 그림자에게 물어 말하길(問景曰): * 罔兩(망량): 곁그림자. 向秀는 ‘그림자의 그림자[景之景也]’라고 했고 郭象은 ‘그림자 바깥의 엷은 그늘[景外之微陰也]’이라고 했다. * 景(영): 그림자. 景은 影과 통용한다. “曩子行, 今子止; 曩子坐, 今子起. 何其無特操與?” (낭자행 금자지 낭자좌 금자기 하기무특조여) “아까는(曩) 네가 걷고 있었는데(子行), 지금은(今) 네가 멈추었고(子止); 아까는(曩) 네가 앉아 있더니(子坐), 지금은(今) 네가 일어섰구나(子起). 어찌(何) 그리(其) 지조가 없는가(無特操與)?”라고 했다. * 曩(낭): 앞서, 전에 * 何其無特操與: 어찌 그다지도 일정한 지조가 없는가. 特操는 일정한 지조. 景曰: “吾有待而然者耶? 吾所待又.. 2024. 1. 2.
[무문관(無門關) 제1칙 조주무자(趙州無字)]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 구자환유불성야무(狗子還有佛性也無) 趙州和尚, 因僧問, 狗子還有佛性也無. 州云, 無. (조주화상 인승문 구자환유불성야무 주운 무) 조주 화상은(趙州和尚), 어느 스님이 묻기를(僧問), 개에게도(狗子) 또한(還) 불성이 있나요(有佛性也無)라고 했기 때문에(因). 조주가 말하길(州云), 없다(無)라고 했다. * 因僧問, 狗子還有佛性也無 - ' 因'은 원인을 나타내는 접속사이고 ' 僧'이 주어, '問'이 술어 '狗子還有佛性也無'가 목적절이 된다. - '還'은 "그런데도 더욱, 역시"의 뜻으로 “개에게도 역시”란 뜻을 보여주는 부사이다. - ' ~也無'는 그저 "무엇입니까"라는 의문의 어투를 나타내는 문장 끝의 조사다. 어원적으로는 '있는가 또는 없는가'라는 뜻이지만 이 시대에는 단순히 고어의 '~乎(~인가)'처럼 쓰였다. 【無門曰】參禪須透祖師關.. 2024. 1. 1.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2-13] 옳고 그름은 상대적인 것! 천예로 조화를 이루고 만변을 따라라 / 화지이천예 인지이만연(和之以天倪 因之以曼衍) 旣使我與若辯矣, 若勝我, 我不若勝, 若果是也? 我果非也耶? 我勝若, 若不吾勝, 我果是也? 而果非也耶? 其或是也? 其或非也耶? 其俱是也? 其俱非也耶? 我與若不能相知也. 則人固受其黮闇, 吾誰使正之? 만약(使) 니와 그대가(我與若) 논쟁을 하고 나서(旣辯矣), 그대가(若) 나를 이기고(勝我), 내가(我) 그대를 이기지 못하면(不若勝), 그대가(若) 과연 옳은 것인가(果是也)? 내가(我) 정말(果) 그른 것인가(非也耶)? 내가(我) 그대를 이기고(勝若), 그대가(若) 나를 이기지 못하면(不吾勝), 내가 과연 옳은 것인가(我果是也)? 그대는(而) 참으로 그른 것인가(果非也耶)? * 旣使我與若辯矣: 가령 내가 그대와 논쟁했다면. 使는 가령의 뜻이고, 若은 2인칭이다. 其或是也? 其或非也耶? 其俱是也? 其俱非也耶? .. 2023. 12. 31.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 2-12] 너희는 모두 꿈을 꾸고 있구나 / 구작자문호장오자(瞿鵲子問乎長梧子) 瞿鵲子問乎長梧子曰: (구작자문호장오자왈) 구작자가(瞿鵲子) 장오자에게 물어 말하길(問乎長梧子曰): “吾聞諸夫子: 聖人不從事於務, 不就利, 不違害, 不喜求, 不緣道, 無謂有謂, 有謂無謂, 而游乎塵垢之外.夫子以爲孟浪之言, 而我以爲妙道之行也. 吾子以爲奚若?” “내가(吾) 선생님께 들었는데(聞諸夫子): 성인은(聖人) 세속의 일에 종사하지 않고(不從事於務), 이익으로 나아가지 않고(不就利), 손해를 벗어나려 하지 않고(不違害), 구하는 것을 좋아하지 않고(不喜求), 도에 얽매이지 않고(不緣道), 말이 없지만(無謂) 말이 있고(有謂), 말이 있지만(有謂) 말이 없어서(無謂, 而) 세속의 바깥에서(乎塵垢之外) 노닌다(游). 선생님은(夫子) 이 말을(之言) 허망하다고 여겼지만(以爲孟浪, 而) 나는(我) 오묘한 도를 행.. 2023. 12.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