齧缺問於王倪, 四問而四不知.(설결문어왕예 사문이사부지) 齧缺因躍而大喜, 行以告蒲衣子.(설결인약이대희 행이고포의자)
설결이(齧缺) 왕예에게 물었는데(問於王倪), 네 번 물어서(四問而) 네 번 모른다고 했다(四不知). 설결이(齧缺) 이에 뛰면서(因躍而) 크게 기뻐하고(大喜), 가서(行) 이것을(以) 포의자에게 알렸다(告蒲衣子).
* 四問而四不知: 네 번 물어도 네 번 다 모른다고 함. 成玄英은 “〈제물론〉 중의 네 번의 물음이다[齊物論中四問也].”라고 하였는데, 〈齊物論〉편 제3장에 실려 있는 내용은 설결이 세 번 묻고 왕예가 세 번 다 모른다고 대답한 문답이다. 질문한 내용은 ‘子知物之所同是乎’, ‘子知子之所不知邪’, ‘然則物無知邪’의 세 가지이지만 뒷부분의 ‘不知利害’까지 합치면 네 가지가 된다(陳景元, 池田知久).
蒲衣子曰: "而乃今知之乎? 有虞氏不及泰氏.(포의자왈 이내금지지호 유우씨불급태씨) 有虞氏, 其猶藏仁以要人, 亦得人矣, 而未始出於非人.(유우씨 기유장인이요인 역득인의 이미시출어비인) 泰氏, 其臥徐徐, 其覺于于, 一以己爲馬, 一以己爲牛, 其知情信, 其德甚真, 而未始入於非人."(태씨기인서서 기교우우 일이기위마 일이기위우 기지정신 기덕심진 이미시입어비인)
포의자가 말하길(蒲衣子曰): "너는(而乃) 지금(今) 그것을 알았느냐(知之乎)? 유우씨(순임금)는(有虞氏) 태씨(복희)에게 미치지 못한다(不及泰氏). 유우씨는(有虞氏), 그가(其) 오히려(猶) 인을 품고서(藏仁以) 사람들을 불러 모았고(要人), 또한(亦) 사람(의 마음)을 얻었지만(得人矣, 而) 애초에(始) 사람이 아닌 (경지로)(於非人) 나아가지 못했다(未出). 태씨가(泰氏), 그가 잠잘 때(其臥) 편안했고(徐徐), 그가 깨었을 때(其覺) 어수룩하고(于于), 한 번은(一) 자기를(以己) 말로 여기고(爲馬), 한 번은(一) 자기를(以己) 소로 여겼지만(爲牛), 그 지혜는(其知) 참으로 믿을만했고(情信), 그 덕은(其德) 매우 진실해서(甚真, 而) 애초에(始) 사람이 아닌 경지로(於非人) 들어가지 않았다(未入)."라고 했다.
* 藏仁以要人: 藏은 《孟子》 〈萬章 上〉의 ‘不藏怒焉’의 藏과 마찬가지로 마음속에 품는다는 뜻이고, 要는 求하다는 뜻으로 要人은 '사람을 불러 모았다'라는 말이다.
* 未始出於非人: 非人을 “다른 사람을 비난하다.”는 뜻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成玄英은 “아직도 是非의 영역을 벗어나지 못했다[未出於是非之域].”라고 보았으며, 安東林도 이 견해를 따라 未始出於非人을 “〈자기 입장만 옳다고 하고〉 남을 비난하는 경지에서 전혀 벗어나지 못했다.”라고 해석하였고, 오강남도 “그러나 아직 시비의 경지를 벗어나지 못했다.”라고 해석하였다.
* 其臥徐徐 其覺(교)于于: 司馬彪는 “徐徐는 安穩한 모습, 于于는 아는 것이 없는 모습이다[徐徐安穩貌 于于無所知貌].”라고 풀이했다.
* 其知情信 其德甚眞: 情과 甚은 모두 정도가 심함을 나타내는 부사이고 信과 眞은 모두 진실함을 뜻하는 술어다.
'장자(莊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 7-3] 천하가 다스려지는 것 (0) | 2024.10.30 |
---|---|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 7-2] 견오견광접여(肩吾見狂接輿) / 그대는 두 벌레의 지혜도 알지 못하는가? (0) | 2024.10.30 |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6-10] 이렇게 만든 것은 아무래도 운명인가보다 (0) | 2024.10.30 |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6-9] 좌망(坐忘) / 앉아서 자기를 잊었다 (0) | 2024.10.30 |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 6-8] 궁복인의 명언시비(躬服仁義 明言是非) / 조물자여! 조물자여! (0) | 2024.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