大國者下流,(대국자하류)
큰 나라는(大國者) 아래쪽에 머문다(下流),
* ‘大國者 下流’를 그대로 풀이하면 “큰 나라는 下流이다.”라고 보아야 하지만, 王弼은 강과 바다에 비유하면서 “큰 곳을 차지하고 아래쪽에 처한다.”라고 하였으니 이를 따라 ‘下流’를 ‘아래쪽에 처한다.’고 풀이할 수 있다.
江海居大而處下, 則百川流之, 大國居大而處下, 則天下流之, 故曰, 大國下流也.
강과 바다가(江海) 넓은 곳에 머물고(居大而) 아래쪽에 있으니(處下, 則) 온갖 하천이(百川) 흘러들고(流之), 큰 나라가(大國) 넓은 곳을 차지하고(居大而) 아래에 있으니(處下, 則) 천하가 흘러들고(天下流之),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큰 나라는 하류다라고(大國下流也) 했다.
天下之交.(천하지교)
천하가(天下之) 모여드는 곳이다(交).
天下所歸會也.
천하가(天下) 돌아와 모이는 곳이다(所歸會也).
天下之牝,(천하지빈)
천하는(天下之) 암컷이니(牝),
靜而不求, 物自歸之也.
고요하고(靜而) 구하지 않으므로(不求), 만물이(物) 스스로 돌아간다(自歸之也).
牝常以靜勝牡, 以靜爲下.(빈상이정승모 이정위하)
암컷은(牝) 늘(常) 고요함으로(以靜) 수컷을 이기고(勝牡), 고요함으로(以靜) 아래가 된다(爲下).
以其靜故能爲下也, 牝, 雌也. 雄躁動貪欲, 雌常以靜, 故能勝雄也. 以其靜復能爲下, 故物歸之也.
그 고요함을 쓰는 까닭에(以其靜故) 아래가 될 수 있고(能爲下也), 빈은 암컷이다(牝, 雌也). 수컷은(雄) 조급하게 움직이고(躁動) 탐욕스러운데(貪欲), 암컷은(雌) 늘(常) 고요하기 때문에(以靜), 그러므로(故) 수컷을 이길 수 있다(能勝雄也). 그 고요함으로(以其靜) 다시(復) 아래가 되고(能爲下), 그러므로(故) 만물이 돌아온다(物歸之也).
故大國以下小國,(고대국이하소국)
그러므로(故) 대국이면서(大國以) 소국에게 낮추면(下小國),
大國以下, 猶云以大國下小國.
대국이하는(大國以下), 대국으로서(以大國) 소국에게 낮춘다(下小國)라고 말한 것과 같다(猶云).
則取小國;(즉취소국)
그러면(則) 소국을 취하고(取小國);
小國則附之.
소국은(小國則) 의지하게 된다(附之).
小國以下大國, 則取大國.(소국이하대국 즉취대국)
소국으로서(小國以) 대국에게 낮추면(下大國, 則) 대국에 취해진다(取大國).
대국이(大國) 받아들이는 것이다(納之也).
故或下以取, 或下而取.(고혹하이취 혹하이취)
그러므로(故) 혹(或) 낮춰서(下以) 취하기도 하고(取), 혹(或) 낮춰서(下而) 취해지기도 한다(取).
言唯修卑下, 然後乃各得其所.
오직(言唯) 낮추는 것을 닦고 나서야(修卑下, 然後) 곧(乃) 각자(各) 있을 곳을 얻는다(得其所).
大國不過欲兼畜人, 小國不過欲入事人.(대국불과욕겸휵인 소국불과욕입사인) 夫兩者各得其所欲, 大者宜爲下.(부양자각득기소욕 대자의위하)
큰 나라는(大國) 사람을 두루 기르기를 바라는 것을(欲兼畜人) 넘지 않고(不過), 작은 나라는(小國) 들어가 남을 섬기기를 바라는 것을(欲入事人) 넘지 않는다(不過). 무릇(夫) 두 나라는(兩者) 각자(各) 그 바라는 것을 얻으려면(得其所欲), 큰 나라가(大者) 마땅히(宜) 낮추어야 한다(爲下).
小國修下自全而已, 不能令天下歸之, 大國修下則天下歸之. 故曰, 各得其所欲, 則大者宜爲下也.
작은 나라는(小國) 낮추는 것을 닦아서(修下) 스스로 온전할 뿐이고(自全而已), 천하로 하여금(令天下) 돌아오도록 할 수 없고(歸之), 큰 나라는(大國) 낮추는 것을 닦으면(修下則) 천하가 돌아온다(天下歸之). 그러므로 말하길(故曰), 각자(各) 바라는 자리를 얻으려면(得其所欲, 則) 큰 나라가(大者) 마땅히(宜) 아래에 있어야 한다(爲下也)라고 했다.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63] 보원이덕(報怨以德) / 덕으로 원한을 갚는다 (0) | 2024.10.24 |
---|---|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62] 도자만물지오(道者萬物之奧) / 도는 만물을 덮어 가려준다 (0) | 2024.10.24 |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60] 약팽소선(若烹小鮮) /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작은 생선을 삶는 것과 같다 (0) | 2024.10.23 |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9] 치인사천 막약색(治人事天 莫若嗇) (0) | 2024.10.23 |
[노자(老子) 왕필주(王弼註) 58] 기정민민 기민순순(其政悶悶 其民淳淳) (0) | 2024.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