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문관(無門關)

[무문관(無門關) 제7칙 조주세발(趙州洗鉢)] 조주의 발우 씻기 / 세발우거(洗缽盂去)

by चक्रम् 2024. 2. 10.
반응형

趙州因僧問, 某甲乍入叢林, 乞師指示. 州云, 喫粥了也未. 僧云, 喫粥了也. 州云, 洗缽盂去. 其僧有省.

조주가(趙州) 한 승려가(僧), 저는(某甲) 막(乍) 총림에 들어왔으니(入叢林), 스승의 가르침을 구합니다(乞師指示)라고 질문한(問) 것에 따라서(因). 조주가 말하길(州云), 죽은 먹었는가(喫粥了也未)라고 했다. 승이 말하길(僧云), 죽은 먹었습니다(喫粥了也)라고 했다. 조주가 말하길(州云), 발우를 씻거라(洗缽盂去)라고 했다. 그 승에게(其僧) 깨달음이 있었다(有省).

 

* 某甲: '나'라는 일인칭 대명사의 겸칭

* 乍(사): '막 ~하고 난 뒤'라는 뜻을 가진 접속사다. 

* 叢林(총림): '잡목이 우거진 수풀'이란 뜻으로 수풀처럼 많은 사람이 모여 수행하는 도량을 뜻한다. 

* 也未: '了'는 동사에 붙어서 완료의 뜻을 나타낸다. '也'는 단정의 어투를 나타내고, '未'은 '~일까 ~아닐까'란 뜻이었지만 나중에는 단지 '~인가'라는 의문을 나타내는 문말조사가 되었다. 

* 有省은 '앗 하고 알아차렸다'라는 뜻으로 쓰인다. 

 

【無門曰】趙州開口見膽, 露出心肝, 者僧聽事不真, 喚鐘作甕.

【無門曰】조주가(趙州) 입을 열어(開口) 쓸개를 내보이고(見膽), 심장과 간장도 드러냈으니(露出心肝), 이 중은(者僧) 알아듣는 것이(聽事) 진실하지 않으니(不真), 종을 항아리라고 부른다(喚鐘作甕).

 

【頌曰】只為分明極, 翻令所得遲. 早知燈是火, 飯熟已多時.

【頌曰】다만(只) 분명함이 지나쳤기 때문에(為分明極), 도리어(翻) 얻도록 하는 것이(令所得) 늦어졌다(遲). 일찍이(早) 등불이 곧 불인 것을(燈是火) 알았다면(知), 밥 익히는 것은(飯熟) 이미(已) 오래 전에 했을 텐데(多時).

 

* 只為: '다만 ~이기 때문에'란 뜻으로 '為'는 이유를 나타낸다. 

* 多時: '已'는 '이미 ~ 해 버렸다'란 뜻의 부사다. 많은 시간(時間).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