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或庵曰, 西天胡子, 因甚無鬚. (혹암왈 서천호자 인심무발)
혹암이 말하길(或庵曰), 서천의 오랑캐는(西天胡子), 어째서(因甚) 수염이 없는가(無鬚)라고 했다.
* 西天은 중국 사람들이 인도를 가리키는 말이고 '西天胡子'는 달마나 석가모니를 가리킨다. 여기서는 달마를 말했다.
* 因甚은 ' 因甚麼'라고 쓰고 '왜, , 어째서'란 뜻을 가진 구어체 의문부사다.
【無門曰】 參須實參, 悟須實悟. 者箇胡子, 直須親見一回始得, 說親見, 早成兩箇.
【無門曰】 참구 하려면(參) 모름지기(須) 진실하게 참해야 하고(實參), 깨달으려면(悟) 모름지기(須) 진실하게 깨달아야 한다(實悟). 이(者箇) 오랑캐는(胡子), 한 번은(一回) 직접 만나봐야 하지만(直須親見始得), 만약(說) 직접 만난다면(親見), 벌서(早) 둘이 되어버린다(成兩箇).
* 者箇는 '이것'이라는 지시사의 구어 표현으로 당대 말기부터 쓰였다.
* 直須에서 '直'은 '須'를 강조하는 부사이고 ' 直須~始得'은 '~하지 않으면 안 된다'라는 뜻의 숙어다.
【頌曰】癡人面前, 不可說夢. 胡子無鬚, 惺惺添懵.
【頌曰】어리석은 사람 앞에서(癡人面前), 꿈 이야기를 할 수 없다(不可說夢). 달마에게 수염이 없다는 것으로(胡子無鬚), 밝고 분명한 것이(惺惺) 더욱 희미해지네(添懵).
* 癡人(치인): 어리석고 못 생긴 사람.
반응형
'무문관(無門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문관(無門關) 제6칙 세존염화(世尊拈花)] 세존께서 꽃을 들다 (0) | 2024.02.10 |
---|---|
[무문관(無門關) 제5칙 향엄상수(香嚴上樹)] 향엄이 나무에 오르네 (0) | 2024.02.09 |
[무문관(無門關) 제3칙 구지수지(俱胝竪指)] 구지가 손가락을 세우다 (0) | 2024.02.09 |
[무문관(無門關) 제2칙 백장야호(百丈野狐)] 백장과 들여우 / 누가 죄를 지었는가? (0) | 2024.02.09 |
[무문관(無門關) 제1칙 조주무자(趙州無字)] 개에게도 불성이 있습니까? / 구자환유불성야무(狗子還有佛性也無) (0) | 2024.01.01 |